학부

2학년

2학년 1학기

2학년 1학기 교과목 소개2학년 1학기 교과목을 소개하는 표
학수번호 교과목명(국문/영문) 주제어(국문/영문) 교과목기술(국문/영문)
30801 비교정치분석 비교/제도/민주주의 각 국의 정치체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 모델, 이론, 패러다임 등을 연구하고, 비교정치 이론의 접근법, 서구와 비서구의 정치체계를 비교 분석한다.
22184 정치사상의이해 정치/사상/고전 이 강좌는 정치학 초심자들이 정치사상 분야 고전을 읽도록 한다. 학생들은 해당 사상가나 이론가가 자신이 살았던 역사 속에서 당대에 제기된 정치적 질문을 어떻게 분석했고, 대응했는지 면밀히 살펴본다.
22189 역사정치학 정치/역사/사회 한국 고대국가의 성립 및 성격에서부터 왕조의 정치변동, 식민지, 그리고 해방이라는 역사의 변천과정을 통해 유지되거나 변모되어온 한국정치의 본질적 성격을 이데올로기, 지배계급, 관료체제, 민중의 저항 등 여러 측면에서 검토한다. 이는 현대한국정치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작업이다.
22180 민주주의정치과정 민주주의/정치과정/비교 현대 민주주의가 행해지는 전반적인 과정을 이론적, 겅험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이익집단의 조직과 활동에 관한 다원주의와 코포라티즘적 양식을 비교 검토해보고, 현대 의회정치의 특징을 경험적 사례들(미국, 영국, 독일 등)을 통해 살펴보며, 또 정책의 형성과 집행과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22181 국제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국제정치 세계화 시대의 정치적 변동의 의미와 전개과정을 개관하고 그에 대한 이론적 접근들을 검토하며, 지정학, 지경학, 국제정치경제의 새로운 쟁점들을 학습한다.
37843 정치와문화 정치/문화/비교 본 수업에서는 정치와 문화의 관계의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 문화, 아이덴티티, 대중문화 등을 토의하고, 이러한 관점이 정치학 그리고 정치경제학에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생각해 본다. 또한 정치와 문화의 연결고리로서 사회적 제도 또는 과정의 특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아울러, 정치문화론이 정치적, 사회적 변화의 동학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해 본다.

2학년 2학기

2학년 2학기 교과목 소개2학년 2학기 교과목을 소개하는 표
학수번호 교과목명(국문/영문) 주제어(국문/영문) 교과목기술(국문/영문)
22185 정치학방법론 정치/방법론/이론 정치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각종 이론, 모델, 어프로치 등을 분석 평가할 수 있는 방법과 능력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치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개념의 설정 및 분석에 강의의 중점을 둔다.
22164 국제정치이론 국제정치/이론/방법론 사회현상의 하나로서 국제정치현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한다. 국제정치가 갖는 특성을 바탕으로 그 변화를 일으키는 힘, 운용상태에 접근하는 방법으로서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접근, 고전적 전통이론으로서 세력균형과 환경론, 행태주의 이론 중 국제정치의 체계적 분석에 유용한 체계이론 , 그리고 그 외 통합이론, 세계체제이론, regime이론 등을 검토한다.
30811 국가와시장 정치경제/국가/시장 자본주의적 민주주의 국가에서 자본의 지배(자본주의), 인민의 지배(민주주의), 국가의 지배(국가 자율성)라는 세 지배원리가 긴장가운데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가에 관한 네오 마르크시스트, 산자유주의자, 국가 중심론자의 이론들을 비교 분석한다.
22182 정치사회학 정치사회학/정치/이론 현대 정치사회의 구조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과 실제적인 정치의 전개과정을 인식하며, 정치사회학에 대한 전개과정을 베버, 뒤르까임, 마르크스 등의 이론에서 조망한다. 특히 현대 정치사회학의 주요 과제들인 불평등 문제, 계급, 국가, 이데올로기 등을 다룬다.
30806 국제기구 국제기구/국제정치/정치경제 국제기구가 발전해 온 과정을 역사적으로 검토한 후, 현존 국제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제기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국제연합을 비롯하여 각종 국제기구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여, 장차 국제기구들이 세계평화 유지 및 국제사회의 발전에 줄 수 있는 영향력을 고찰한다.
33116 한국정치 정치/한국/역사 구체적인 역사적 사례를 중심으로 해방 이후 현재까지 한국정치의 흐름을 분석한다. 특히 한국정치의 중용변수인 정당, 선거, 군부, 정치엘리트, 농민운동, 학생운동, 노동자운동 등을 중심으로 한국의 민주화과정을 설명해본다. 이를 통해서 한국정치의 구조적인 성격을 밝힐 수 있는 방법론의 모색을 시도한다.